CUBRID database 생성

2020. 12. 8. 16:57·DBMS
728x90
SMALL

atabase 생성하고 시작하기

Database을 생성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.
    
    createdb [options] databse_name

createdb를 실행하면 명령을 실행한 현재 디렉토리에 Database 가 생성되므로 Database를 생성하기 전에 Database가 생성될 디렉토리를 먼저 생성하고 생성된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작업해야 Database가 사용할 볼륨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수 있다고 한다.

출력된 내용은 버전이 달라서 인 것 같다. 어쨋든 정상적으로 testdb가 만들어졌다.

# 옵션을 통해 Database 크기를 지정해 주지 않고 기본 크기로 생성한 Database는 페이지 사이즈가 default 4kbytes 인 5000개 page를 갖는 Database로 실제 사용되기에는 작은 크기로 생성되며 업무 내용에 따라 createdb의 옵션중 -p 옵션을 이용하여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. 그 외의 옵션들은 CUBRID 매뉴얼의 참조를 권고한다.

기본 옵션으로 만들면 실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소리같다. 그냥 참조만 하고 넘어간다.

- Database 시작하기
생성된 Database 서버를 구동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.
    
    cubrid server start [-timeout second] database_name


- 구동중인 Database 확인하기

현재 구동중인 Database 을 확인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.

    cub_commdb -P

 

cubrid manager start큐브리드 매니저cd $CUBRID/cubridmanager•%./cubridmanager

 

728x90
LIST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'DB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큐브리드 모듈설치
  • CUBRID 실행하기
  • CUBRID 의 허용포트목록
  • CUBRID 설치및 실행
HBAEKS
HBAEKS
H는 묵음이야. IT쟁이 HBAEK의 이것저것.
  • HBAEKS
    HBAEK`Story
    HBAEKS
    • SUDO (53)
      • Cloud (11)
        • AWS (5)
        • Azure (0)
        • GCP (0)
      • DevOps (3)
      • OS (27)
        • Linux (21)
        • CentOS (5)
        • Windows (0)
      • DBMS (7)
        • MySQL (0)
        • PostgreSQL (0)
        • NoSQL (1)
      • Security (0)
      • ETC (4)
        • Tip (3)
      • AI (1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링크

    • 공지사항

      • Rebooting the HBAEK`S
    • 인기 글

    • 태그

      valkey
      nosql
      vim
      팀플랜
      Redis
      AWS
      개인결제
      elasticache
      cursorai
      windsurfai
      rdate
      AI툴
      GitLab
      vi
      linux
      java centos tomcat
      CentOS
      ai
      DNS
      centos7
    • 최근 댓글

  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    HBAEKS
    CUBRID database 생성
    상단으로

    티스토리툴바